오랫만에 날고 허물어져 가는
시골의 작은 간이역 한곳을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오래전 광산업의 고장이었던 문경의
작은 간이역 진남역입니다.
몇해전에 인근에 위치한 가은역과
불정역을 다녀온적이 있는데 그나마 두곳은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이 되어
나름 관리가 잘 되고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철도자전거길이 운영되었던
진남역은 지금은 인적하나 없는
잡초천국이 되어 여행자의 마음을
무척 우울하게 하더군요.
막상 진남역앞 현장에 도착하니
어렴풋이 기억이 났습니다.
여름휴가때 가족들과 이곳을 방문하여
레일바이크를 탔던 기억이...
진남역 앞에 도착했습니다.
보잘것 없이 무척 초라해 보입니다.
그동안 봐오던 등록문화재로 관리되고 있는
여러곳의 간이역에 견주어 봐도 비교가 안될만큼
낡고 허물어져 가고 있는 느낌이더군요.
진남역에 대해서
백과사전에서 찾아보았습니다.
현재는 영업이 중지된 상태이며,
2004년부터 관광사업의 일환으로
철로자전거를 운영하고 있다.
철로자전거 운행구간은 진남역-구랑리방면 구간이다.
원래는 진남역-불정역 방면, 3번 국도를 따라 가는 구간도 있었으나
임시휴장에 들어갔다가 폐지되었다.
현재 진남역-구랑리방면 구간은
철로자전거 복선화 공사로 인해
무기한 임시휴장에 들어간 상태다.
문경선, 가은선은 현재 문경 진흥공단이 관리하고 있다.
역사[편집]
이곳에서 지금도 레일바이크가 운영되는줄 알고
잘못 찾아오시는 분들이 더러 있더군요.
녹슨 간판이지만
변함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무척 고마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의자는 당시 레일바이크가 성업중일때
만들어진 의자가 아닌가 합니다.
거물 옆으로 이동하면서 자세히 보았더니
기본 골격은 건축할 당시의 모습이 상당부분
고스란히 남아 있었습니다.
선로가 왜 복선인가 이상하게 생각했더니
원래는 단선인데 레일바이크 운영 때문에 추가로
좌우로 선로를 하나씩 더 설치했다고 합니다.
문경시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2004년 진남역에서 불정역 간을 운행하는
철로자전거를 도입했다고 전해집니다.
물론 지금은 이곳 진남역에서는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며 인근의 불정역 등
문경에는 총 5개 코스로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레일바이크가 가장 많다고 합니다.
소스라치듯 지나치는 바람결에 휘날리는
노란 금계국들은 손짓하듯 살랑살랑 거립니다.
철마는 달리고 싶다고 했습니다.
비록 석탄을 실어 나르던 문경선이지만
당시 광부들의 웅성거림이 그대로 전해지는듯
먼 선로에서는 서성이는 그들의 그림자가
착시현상으로 보이더군요.
잡초투성이의 그 선로를 따라
한참을 거닐어 보았습니다.
비록 폐역이 되고
지금은 이렇게 녹슨 선로만이 덩그러니 자릴 잡고 있지만
선로를 완전히 걷어내어 버린 일부 간이역에 비하면
어쩜 다행이란 생각도 들었습니다.
저만치 기차 한대가 들어오는것 같습니다.
기적을 울리며 간이역으로 진입하는
그 소리가 그립습니다.
선로를 거닐면서
많은 생각들이 스쳐지났습니다.
주변을 서성이며
당시의 흔적을 찾아보려 했지만
거의 남아있지 않은듯 하였습니다.
단선 기차 선로에서
복선 레일바이크로 변해버린 진남역...
낯선 원두막이 쥔장 행세를 하고 있답니다.
선로 옆 작은 길을 거닐어 보았습니다.
선로원들이 수동으로 조작하며 타고 다니던
거시기 한대가 저렇게 방치되고 있더군요.
저 너머 하얀 찔레꽃 군락은
안스러운 눈빛으로 여행자를 쳐다 보더군요.
간이역사를 빠져나와
바로 앞 영강을 바라보니
저렇게 큰 신작로가 개설되어 있고
그 아래 강물에서는 수상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시설이 운용되고 있었습니다.
저렇게 말입니다.
사실 그해 여름휴가때 저희 가족도
저 수상자전거를 탔었거던요.
진남역 바로 앞에는
지금도 식당과 매점 몇곳이 운영중이며
지역 특산품인 오미자 막걸리를
진열해 두었더군요.
화려한 빛깔의 문경 오미자 막걸리랍니다^^
상가 건물 사이에서
또 하나의 작은 간판을 발견했습니다.
달리던 기차도 멈췄고
달리던 자전거도 중단되었지만
간이역 진남역의 전설은 우리네 삶과
오래도록 함께해온 벗인양 느껴졌습니다.
몇해전에 다녀온
문경의 간이역 가은역입니다.
가은역 포스트 바로가기 : http://blog.daum.net/adol2751/672
여긴 문경의 간이역 불정역이구요.
불정역 포스트 바로가기 : http://blog.daum.net/adol2751/685
이렇게 문경의 간이역
세곳을 다녀온 후 마지막으로
진남역을 오늘 소개해 드렸습니다.
그나마 가은역과 불정역은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이 되어
관리가 되고 있었지만 오늘 소개해 드린 진남역은
이도저도 아닌 모양새로 허물어져가는 지금이
너무나도 안타깝기만 했습니다.
제가 늘 내마음의 풍금이라 칭하는
작은시골 간이역은 기억속에서 잊혀져 가지만
우리의 근대 역사에서 귀한 역할을 한만큼
비록 오래되고 낡아 보잘것 없더라도
잘 보존되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생각과 바람입니다.
간이역은 우리의 쉼터이자
휴식같은 친구입니다.
'내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덕 블루로드길에서 만난 대게다리의 창포말 등대... (0) | 2015.06.16 |
---|---|
예정에 없던 남제주의 장례문화 경험기... (0) | 2015.06.14 |
영덕 축산항 붉은 등대에서 내 마음의 풍금을 노래하다... (0) | 2015.06.02 |
추억으로 떠난 여행 영덕 노물리 포구... (0) | 2015.05.29 |
비좁고 가파른 안동 신세동의 성진골 벽화 골목길이 좋다... (0) | 201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