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답사기

야옹정과 도암정의 아름다운 이야기...

금모래은모래 2012. 3. 28. 09:00

 

 

 

 

경북 봉화군 상운면 구천리의

까치구멍집을 들렀습니다.

 

국도변에 위치하여

매번 처가댁을 갈때면

먼 발치에서 바라만 보다가

이번엔 큰맘먹고 둘째녀석이랑

특별히 시간내어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까치구멍집 바로 옆에 있는

구산서당입니다.

 

 

 

 

 

 

서당의 난간에서도

조상의 지혜로움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휘어진 곡선미가 상당히 과학적인것 같습니다.  

 

 

 

 

 

 

구산서당의 안내 간판입니다.

 

 

 

 

 

주차장에서 바라본 구천리의 모습입니다.

마을 뒷편 언덕에 위치한 구산서당과 까치구멍집이

어렴풋이 보입니다.

 

 

 

 

 

 

까치구멍집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경상도식 가옥형태로

현재 안동의 민속촌에도 있답니다.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상당히 따뜻하도록

잘 안배된 형식이라고 하네요.

저 지붕의 구멍으로 까치가 드나들었나 봅니다^^ 

 

 

 

 

 

 

까치구멍집 좌측의 모습입니다.

 

 

 

 

 

 

기본틀이 상당히 잘 보존되고 있었으며,

안쪽으로 들어가려면 저 대문을 통과해야만

가능한것 같았습니다.

 

아쉽게도 자물쇠로 잠겨져 있더군요^^

 

 

 

 

 

 

바람불어 차가운날

까치구멍집 방문 기념 샷을

울 둘째녀석으로 선택했습니다. 

 

 

 

 

 

 

까치구멍집 바로 앞엔

이런 폐가가 자리잡고 있더군요.

 

사람이 살때와 비어있는 집의 차이가

너무나도 확연한것 같습니다. 

 

 

 

 

 

 

구천리 마을 입구를 지키는 노송들은

이 마을의 전설을 머금은 듯 보였습니다.

  

 

 

 

 

마을 내부의 또다른 곳엔

정자인지 서당인지 모르겠지만

하여간 요렇게 생긴 고건축물이 또 있었습니다.

안내 표지판이 없더군요.

 

 

 

 

 

 

바로 옆엔 조그마하지만

또 다른 서당이 자리잡고 있구요.

마을 전체가 서당으로 이루어진것 같습니다.

 

 

 

 

 

 

절개와 의리의 상징으로 잘 알려진

야옹정입니다.

 

아쉽게도 이곳은 직접 들어가 보질 못하고

먼 발치에서 바라만 보았답니다.

 

그럼 야옹정에 대하서 한번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야옹 전응방(1491∼1554)이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세운 정자로

도덕과 학문을 강의하고 토론하던 곳이다.

 

전응방은 중종 때 진사에 급제하였으나

단종 때 왕위찬탈의 추함을 몸소 겪은

할아버지 휴계 전희철의 유언을 받들어

관직에 뜻을 버리고 산수 좋은 이곳에 야옹정을 세워

도덕과 학문을 수련하였으며,

퇴계 이황과 자주 만나 도학을 강론하였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현판은 퇴계 이황이 직접 쓴 것이다.

 

 

 

 

 

 

 

 

이렇게 봉화군 상운면 구천리의

까치구멍집과 구산서당 그리고 야옹정을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노송의 기개는

이 마을의 무게감이 보통이 아님을

상징이라도 하듯 상당히 우람하였습니다.

 

 

 

 

 

 

봉화군 봉화읍 거촌리 황전마을의

도암정을 찾았습니다.

 

도암정은

 

조선시대의 문신 황파 김종걸이 효종 1년(1650) 무렵에 세운 정자로

당대 유림들의 교유, 토론, 풍류를 위해 지었다고 한다.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과 비슷한 팔작지붕이다.

 

간결하게 꾸민 건물로 가운데 칸은 마루를 놓았고

양쪽에 온돌방을 두었다.

누마루 주변에는 난간을 설치하였다.

 

정자 앞의 연못, 인공섬, 큰 바위들과 노송 등

주변 경관과 정자가 잘 어우러져

당시 양반들의 안목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도암정 안내 간판...

 

 

 

 

 

도암정 바로 옆엔 이렇게 멋지고

수려한 자연경관이 자리하고 있다.

 

거대한 바위와 몸체를 같이하는 고목들에서

고즈넉함 마저 느껴졌습니다. 

 

 

 

 

 

 

이 도암정 연못의 연꽃 또한

유명세를 띠지만 지금은 이렇게 황량하기 그지없다.

 

연꽃 화려한 좋은 시절에

다시한번 찾고싶은 충동이 생기는건... 

 

 

 

 

 

 

살아있는 고목이 저렇게 바위와 함께

뒤엉켜서 오랜 세월을 지새고 있다는 사실에서

이 황전 마을이 왜 이 지역에서 효행으로 이름을 떨치는지

나름 이해가 된다. 

 

  

 

 

 

 

화려한 고건축물의 대표격인 도암정과

주변의 많은 볼거리는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어

아주 접근성이 뛰어나다.

 

 

이렇게 정자의 고장으로 유명한

경북 봉화의 대표적인 두개의 정자인

야옹정과 도암정을 살펴보았습니다.

 

두 정자를 좀 더 여유있게 자세히 들여다 보지 못해

아쉬운 부분이 많았습니다.

 

도로변에 위치하여 진작에 다녀올만도 한데

이제서야 방문하게 되어 한편으론

쑥스럽기도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