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봉화에는
단 한점의 국보가 있습니다.
[국보 제201호]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奉化北枝里磨崖如來坐象)
그동안 지나 다니면서
몇번을 둘러보았지만 사실
블로그에 소개한적은 없었습니다.
가을빛 내려앉는
경북 봉화 북지리 지림사의
마애 여래좌상과 주변 풍광입니다.
주차장에서 바라본 봉화 지림사...
진입로에 내려앉는 가을이야기...
곳곳에 내려앉은 가을이 좋습니다.
지림사의 유래를 찾아보았습니다...
호랑이가 걸터앉은 것과 같은 형국이란 의미를 지닌
북지리 호거산에 자리하는 지림사는 국보 제201호로 지정된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이 현존하고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수도하는 승려가 500여명이 될 정도의
대 사찰이었던 지림사는 축서사 창건 설화에도 등장하는데,
문무왕 13년(673)에 의상대사가 지림사에서 산 쪽을 바라보니
멀리 서광이 비취는 것이 보여 빛이 도달한 곳에
지금의 축서사를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정조대(18세기)에 저술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지림사는 문수산에 있다(智林寺在文殊山)'라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조선 중후기까지 계속하여 사찰이 존속하며 법통을 이어온 것으로 알 수 있으나,
'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다' 혹은 '축서사로 인해 사세가 기울었다'는
등의 이유로 폐사되었다고 구전되고 있다.
1949년경 현 위치에 지림사를 재건하여
국보로 지정된 마애여래좌상을 보호 관리 하며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코스모스빛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국보 201호입니다.
닳고 닳은 그 흔적이
오랜 세월을 가늠케합니다.
오래도록 잘 보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고 보면
지림사는 당시엔
정말 큰 사찰이었군요.
가을 코스모스와 지림사의
조화로움이 너무 아름답습니다.
묻어나는 가을 이야기도
지림사의 역사를 노래하는듯 하구요.
그동안 몇번을 방문했지만
포스팅을 하지 않은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중요한건 귀한 국보 한점이
보존되고 있는 지림사의 의미를 되새김하고자
이번엔 간략하게나마 소개해 보았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국보의 숫자는
얼핏보기엔 상당히 많아 보이지만
중요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국보한점 없는 시군구가 의외로 많습니다.
봉화 북지리 지림사의 마애여래좌상...
많이 닳고 닳아서 투박해 보이지만
분명 소중한 문화재입니다.
'문화유산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거진천 농다리에서 천년의 숨소리를 듣다... (0) | 2015.11.10 |
---|---|
세종대왕릉 영릉도 화려한 단풍빛으로 수놓았습니다... (0) | 2015.10.27 |
영양 서석지의 가을도 깊어가고 있었습니다... (0) | 2015.10.08 |
사도세자와 정조의 얼이 서린 화성행궁의 야경... (0) | 2015.09.18 |
철도 역사를 한눈에 볼 수있는 의왕 철도박물관에서... (0) | 2015.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