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답사기

[아산여행] 봉곡사 천년의 숲길 그 신비로움을 거닐다...

금모래은모래 2015. 5. 1. 06:00

 

 

 

이번 아산 워크숍 기행에서

거의 대부분 사전 계획을 도모하여

나름 시간대별로 잘 다녀왔지만

유난히 계획에 없이 급하게

다녀온곳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리는 봉곡사와

봉곡사 천년의 숲길입니다.

 

봉곡사는 오래된 고찰이긴 하지만

현재는 사찰의 규모도 무척 작고 남아있는

문화재가 많지않아 암자 정도의
느낌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주차장에서 봉곡사로 오르는

700m 정도의 소나무 군락의 천년의 숲은

힐링로드임에 분명하였습니다.

 

최근에 다녀온 오대산 월정사

전나무 군락의 천년의 숲길과는 또 다른

운치가 넘쳐나는 봉곡사 오르는 길의

천년의 숲으로 가 보겠습니다.

 

 

 

자 이제 출발~~~~

 

 

 

 

봉곡사 천년의 숲을 걷습니다.

천천히 아주 천천히...

 

곳곳에 남아있는 산벚꽃은

노거수 소나무 군락 사이에서

유난히 하얀빛을 뿜어내고

있더군요.

 

 

 

 

약간의 경사가 있는 오르막길이지만

아이들도 뛰어 갈 수 있을 정도로

거닐기 좋은 정도랍니다.

 

 

 

 

오며 가며

간간히 만나는 방문객들은

이 숲길에 깊이 매료되어 상기된

얼굴 표정들이었구요.

 

 

 

 

침엽수인 소나무 군락 사이로

쏟아지는 고운 햇살이 그저 고맙더군요.

 

 

 

 

길가 바위 위에는

온몸을 불사르며 꽃을 피우는

가녀린 제비꽃의 숭고함이

발길을 붙잡구요.

 

 

 

 

외암리 민속마을에서 우연히

이곳 천년의 숲 정보를 알게되어

차로 10여분 거리인 봉곡사를 불현듯

찾아나섰습니다.

 

지금의 계절이 주는 향기로움과

노거수 소나무 군락에서 뿜어져 나오는

그 기운들은 정신을 맑게 하더군요.

 

그것이

힐링인가요?

 

 

 

 

현장에서 스마트폰으로

이곳을 자세히 검색해 보았습니다.

 

다녀오신분들의 포스팅을 통해

계절별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포스팅속 가을날 단풍빛이 좋았습니다.

하얀 겨울날의 신비스러움은

더 좋았습니다. 

 

 

 

 

어느 순간

봉곡사를 알려주듯

천년의 숲길 좌우로 빼곡한

알록달록한 연등행렬이 이어집니다.

 

 

 

 

연꽃 모양을 한

다양한 색상의 연등이

바람결에 하늘 하늘 춤을 추구요.

 

 

 

 

매년 이맘때면 만날 수 있는

연등행렬은 언제봐도 감동입니다.

 

종교적인 접근이 아니라

어느 누구나 매로되기 좋은 그런

분위기의 숲길 연등이 유난히 좋았습니다.

 

 

 

 

 

드디어 봉곡사에 도착했습니다.

 

봉곡사에 대해서 백과사전을 통해

아래와 같이 찾아 보았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신라 말 도선(道詵)이 창건하였고,

1150년(의종 4)보조국사(普照國師)가 중창하여

절 이름을 석가암(釋迦庵) 또는 석암(石庵)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 뒤 1584년(선조 17) 3월 거사 화암(華巖)이 중수하여

봉서암(鳳棲庵)이라 하였고, 1794년(정조 18)경헌(敬軒)과

각준(覺俊)이 대웅전을 증수하고 봉곡사라 하였으며,

동시에 요사도 중건하였다.

 

1825년(순조 25) 봄 요사를 중수하는 한편 2층 누각을 신축하였고,

1872년(고종 9)서봉(瑞峰)이 요사채의

후방(後房) 10여 칸을 증축하였으며,

1931년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3칸의 대웅전을 중심으로

서쪽에 향각전(香閣殿)이 있고 동쪽에 선실(禪室)이 있으며,

선실과 연결된 요사채가 있다.

 

요사채는 ㅁ자형 와가로서 매우 큰 건물이다.

문화재로는 사보(寺寶)로 소장되어 있는

 『영가집(永嘉集)』 외에는 두드러진 것이 없다.

 

그러나 대웅전 안의 후불탱화는

그 유래가 특이하여 주목된다.

세로 75㎝, 가로 43㎝인 이 관음탱화(觀音幀畵)는

조선시대의 작품으로 원래 이 절에 봉안되어 있던 것이었는데,

1909년에 이 절에 있던 병든 승려가 약을 준 일본인에게

완쾌된 뒤 선물하여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었다.

 

1958년 4월 5일구원회(具沅會)가

일본에서 이 불화를 가져와 다시 봉안했는데,

그 유래가 불화갑(佛畫匣) 뚜껑에 쓰여 있다.

 

현재는 비구니가 머물고 있으며,

약수와 15m 높이의 향나무 및

주위에 울창한 송림 등이 유명하다.

 

 

 

사실 저는 사찰에서

비구니를 만나뵙지는 못했습니다.

 

 

 

 

사찰 자체는

그렇게 큰 규모는 아니지만

나름 오랜 전통의 고찰이라고 하더군요.

 

 

 

 

다양한 봄빛 그윽한

봉곡사 경내를 거닐어 봅니다.

 

 

 

 

시원한 샘물 한모금으로 목을 적셨습니다.

물위에 떠 다니는 연분홍빛 꽃잎은

사의찬미인양 하구요.

 

샘물로의 낙화? 

 

 

 

 

 

이런 재미도 있답니다.

 

제가 유난히 좋아하는

장독대와 빨래집게의 만남...

이 얼마나 한국적인가요?

 

별로 높이 올라온게 아닌데

경내에서 바라보니 이런 조망권이

눈앞에 펼쳐지더군요^^

 

 

 

 

무척 조용했습니다.

 

딱 한분의 덩치큰 스님을 만났습니다.

그 스님은 폰으로 통화를 하시더니

차를 몰고 절 아래로 휭하니

내려갔습니다. 

 

 

 

 

 

끝자락의 경내 산벚꽃은

그새 초록빛 움틈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있었구요.

 

조용했지만

산새들의 노래소리와

숲속 그네들의 속삭임으로 인해

오히려 오감은 짜릿했답니다.

 

 

 

 

지나가는 탐방객 한분을 붙들고

스마트폰으로 인증샷 한장을 건졌습니다.

 

비록 우리네 삶이 여행이긴 하지만

짬시간을 이용해서 봉곡사를 방문한 희열이

제 얼굴빛에 그대로 묻어나는듯 했구요.

 

마음이 평온했습니다.

 

 

 

 

봉곡사를 둘러보고 내려가는 길입니다.

연등은 다시봐도 이쁘네요. 

 

내려오면서

영화속의 주인공인양

착각을 해 보기도 했구요.

 

그런 착각이 바로

홀로 기행의 매력이기도 하죠.

 

 

 

 

흑백으로도 한장 담아보구요.

 

 

 

 

예정에 없이 방문하게된 봉곡사에서

이렇게 아름다운 연등을 만날 수 있었다는건

저를 무척 설레이게 했습니다.

 

 

 

 

이 군락의 나무들이

소나무가 아니고 활엽수였다면

햇빛도 잘 안들어올것 같았습니다.

 

 

 

 

저만치 귓속말로 속삭이는

초록빛을 지긋이 마주해 봅니다.

 

그리고

두 눈을 감고

그들의 속삭임에 대응하며

늙은 소나무 한그루를 가만히

껴안아 주었습니다.

 

 

 

 

뭔가 전해주는 메세지가 있는듯

뭔가 가늘게 울려퍼지는 멜로디가 있는듯

소나무 특유의 향은 코끝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더군요.

 

봉곡사와 사찰 오르는 길의

천년의 숲길은 노거수 소나무 군락으로

트레킹 코스로도 좋고 힘들지 않는 적당한

오르막길이 유난히 좋았습니다.

 

숲길을 거닐면서 스스로 자연에 동화되고

제대로 힐링할 수 있는 아산의 또다른

숨은 명소임을 체험했습니다.

 

봉곡사 가는길

천년의 숲길 거닐기는

신비로움이었습니다.

 

푸른 신록처럼 건강하고

행복한 오월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