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에 충북 제천의 천등산 박달재를 다녀 왔습니다...
지금은 터널이 개통되어 차량들은 신작로를 이용하여 달리지만
구길은 아직도 박달재의 그 아련한 전설의 향을 맛볼 수 있었습니다...
경기도 장호원쪽에서 충북 제천방향으로 가는 38번 국도변의
박달재 구길 진입로입니다~~
울고 넘는 박달재 -----
작사 반야월/ 작곡 김교성/ 노래 박재홍
천등산 박달재를 울고넘는 우리님아
물항라 저고리가 궂은비에 젖는구려
왕거미집을짓는 고개마다 구비마다
울었오 소리쳤오 이가슴이 터지도록
부엉이 우는산골 나를두고 가는님아
돌아올 기약이나 성황님께 빌고가소
도토리 묵을싸서 허리춤에 달아주며
한사코 우는구나 박달재의 금봉이야
박달재 하늘고개 울고넘는 눈물고개
돌뿌리 걷어차며 돌아서는 이별길아
도라지 꽃이피는 고개마다 구비마다
금봉아 불러보나 산울림만 외롭구나
박달재 구길 아래에 있는 박달령휴게소에서~~
박달재는 조선조 중엽까지 이등령이라고 불리어졌다.
이는 천등산 지등산이 연이은 嶺마루라는 뜻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곳에는 인등산도 함께 있어 天, 地, 人이 모두 갖추어진 유일한 곳이다.
박달재는 아득한 옛날 우리민족의 시원과 함께 하늘에게 天祭를 올리던 성스러운 곳이다.
박달은 순수한 우리말로 한자 자체가 가진 의미는 없다. 박은 밝다, 크다, 하얗다, 높다, 성스럽다 등의
여러가지 의미를 갖고 있는데 이것이 한자어로 차용이 되면서 <朴, 白, 弗, 不, 發>등으로 쓰였다.
달(達)은 산이나 언덕등을 나타내는 알타이어어의 고어이며 단군신화 속에서 나타나는 아사달, 금미달 등이 그것이며,
특히 고구려에서는 지명에 많이 쓰였다.
그러므로 박달은 白山으로 풀이 되는데 이 백산은 태백산, 백두산등과 동일한 의미와 기능을 갖고 있다.
단군조선을 세우신 단군왕검의 壇은 흔히 박달나무 단자로 이해되고 있으나 이는 박달 즉 백산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군왕검은 백산 또는 태백산의 임금을 말하는 것이다.
단군이래로 우리민족이 천제를 올리던 백산은 여러곳에 있다.
그리고 그 산들중의 하나가 바로 이곳에 있는 천등산 박달재인 것이다.
박달재 정상에 있는 박달도령과 금봉아씨~~
영남의 과거도령 박달은 과거 합격이라는 청운의 꿈을 갖고 한양을 찾아가다
평동마을의 한 농가에서 유숙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여난을 조심하라는 가훈을 가슴에 지닌 박달도령의 늠름하고 준수한 태도에
그집의 딸 금봉이는 그만 마음을 빼앗기고 말았다.
박달도령도 금봉이의 절절하고 연연한 자태에 넋을 잃고 말았으니, 양인심사는 양인지라.
뜻과 뜻이 맺어지고 마음과 마음이 이어져 누가 먼저랄것도 없이 달빛이 호젓한 밤 두 청춘남녀는 사랑을 맹세하고
장래를 약속하며 밀회로 밤을 새웠다. 그러나 이들은 이별이란 말 아래 눈물을 흘려야만 했다.
정성을 다해 몰래싸준 도토리묵을 허리춤에 달고 박도령은 눈에 어리는 금봉이의 모습을 애써 지워가며
이등령 아흔 아홉구비를 꺽어돌며 눈물을 뿌렸다.
한양에 도착한 박달이는 만사에 뜻이없고 오로지 자나깨나 금봉이 생각뿐이었다.
연연한 그리움을 엮어 벽에 걸고 과거를 보았으나 결과는 낙방이었다. 몇일을 두고 고민하는 날이 계속 되었다.
그리움 내키는대로 평동을 가자니 낙방의 초라한 모습을 금봉이에게 보일 수 없어 가슴을 태웠다.
한편 박달을 보낸날부터 성황님께 빌고 빌기를 석달열흘, 끝내 소식이 없자 금봉이는 아흔 아홉구비를
그리운 박달의 이름을 부르며 오르고내리다 마침내 실신하여 상사의 한을 안고 불귀의 객이 되고 말았다.
박달은 금봉이의 삼우날 평동에 도착하여 금봉이의 허망한 죽음앞에서 실의와 허탈감에 그만 의식을 잃고 말았다.
얼마나 지났을가? 눈을 뜬 박달의 앞에 금봉이가 애절하게 박달을 부르며 앞으로 지나갔다.
앞서가던 금봉이가 고개마루 정상벼랑에서 박달을 부르며 몸을 솟구치는 찰라,
박달은 금봉아! 한마디를 부르며 금봉이를 잡았으나 이는 허상일뿐 벼랑에서 떨어지는 몸이 되었다.
봄이면 두 남녀의 이루지 못한 애절한 사랑을 대변하듯 연붉은빛 진달래 꽃이 아름답게 피고 진다.
박달재 정상에 있는 고려 명장 김취려장군 대첩비
1216년 고려의 김취려<金就礪> 장군이 거란의 대군을 여기 박달재에서 물리쳤고
1268년 고려의 이 고장 별초군<別抄軍>이 또한 여기서 몽고의 군사를 막아냈다.
영남땅 도령 박달과 이 재 아랫마을 처녀 금봉의 사연이 전해오기도 하고
박달은 태고적부터의 유래를 지닌 白山의 뜻이라고도 하나 이 오랜일들을 오늘날 뉘 소상히 알랴.
오가는 길목의 고운 산딸기들~~
입속에서 녹아 내릴듯한 산딸기의 알싸한 향기가 참 좋았습니다.
박달재 구길에서 내려다 본 '경은사'와 '박달재휴양림'~~
박달재 정상에 있는 박달도령과 금봉아씨의 애절한 사랑을 노래한 비 앞에서~~
박달재 정상을 오르는 길목의 목각공원~~
한분의 스님이 커다란 불력으로 제작하였다는 수많은 목각들이 야외에 전시되고 있으며~~
야외 공원에 전시된 목각에서 우리네 옛 일상을 엿볼 수 있었다~~
아이에게 젖을 물린 채 물동이를 이고 가는 아낙의 모습이 참 이채로왔습니다^^
천등산 산행 초입에서 만난 우리 산야의 야생화 초롱꽃~~
향기로운 천등산의 야생 더덕들도 즐비~~
험한 천등산 계곡의 약초산행 중 한 컷~~^^
잔대~~
아직은 원시림 그 자체를 자랑하는 제천 천등산의 심산유곡~~
왕실의 사약으로 쓰여졌던 독초 천남성..
가을이 되면 저 하얀 열매가 붉게 익으리니 그때가 맹독의 최고 전성기~~
쓰러진 고목에 이름모를 버섯이~~
천등산 산행을 무사히 마치고 계곡물에서~~
'맑고 향기롭게"..................ㅎㅎㅎㅎ
산행 내내 일행들과 즐겁고 재밌는 가운데 웃음 가득하게 박달재를 넘었습니다...
그래서 '울고넘는박달재'가 아닌 '웃고넘는박달재'가 되어 버렸네요~~
하지만
오늘도 저렇게 한자리에서 꼼짝도 않고 기도하는 맘으로
박달도령을 애타게 기다리는 금봉아씨를 볼때면
왜 그렇게 맘이 아파 오던지요~~
이번 산행엔 충북 제천 천등산 박달재의
순수한 사랑의 향기가 가득한
애절한 전설을 가슴가득 담아 왔습니다~~
2009.6
'산 사랑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망산 산행기.. (0) | 2011.06.15 |
---|---|
가평 그 아름다운 산야... (0) | 2011.06.15 |
앵자봉 산행 후기... (0) | 2011.06.14 |
강원도에는... (0) | 2011.06.14 |
검단산에서 봉재산까지... (0) | 2011.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