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꽃인지 아시죠?
'꽃 무릇'이라는 꽃입니다.
지난 일요일 당직 근무로 인해
어제 하루는 휴무였습니다.
모처럼 오전에 제대로 맘 먹고
가까운 곳의 아름다운 가을날의 소재를 찾아 나서려 했지만
오전부터 이놈의 날씨가 또 안 도와 주더군요^^
근간엔 개인적으로 시간만 나면 비가 내리니
뭔 짓을 못하겠어요...ㅋㅋㅋ
월요일 오전 경기도 이천과 경기도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원적산 깊은 계곡의 '영원사'를 찾았습니다.
이 곳에서 예기치 못했던
꽃 무릇과의 첫 만남이 이루어졌습니다.
꽃 무릇...
그래요...
저는 한번도 이 꽃을 직접 목격하거나
본적이 없습니다.
물론 인터넷상에서 사진으로 많이 봐 오던 꽃입니다.
작은 손카메라만 호주머니에 챙기고
조금은 서럽게 내리는 가을비를 피해 우산을 드리우고
산사를 한 바퀴 돌고 나오던 찰나
계곡의 어두운 음지에서 이 꽃을 발견했습니다.
그 때 그 두근거림 아시죠^^
우수수 가을비는 내리고
빛이 없는 계곡엔 습한 기운만 감도는 가운데
순간 한손으로 카메라 셔터를 눌렀는데
라이트가 터지면서 이런 장면이 연출되기도 하더군요^^
선운사와 불갑사 등에서 유명한
이 꽃 무릇은 상사화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지만
분명 상사화와는 완전히 다른 꽃임을
백과사전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여기저기서 두 꽃은 학명이 같기에
같은 꽃이라고들 주장은 하지만
분명 그 외형적인 생김새가 완전히 다르기에
일반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면
상사화와 꽃 무릇은 다른 꽃이라고 칭하는게
옳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해 본다.
만 남
- 노사연 -
우리 만남은 우연이 아니야
그것은 우리의 바램이었어
잊기엔 너무한 나의운명 이었기에
바랄수는 없지만 영원을 태우리
돌아보지 말아 후회하지 말아
아 바보같은 눈물 보이지 말아
사랑해 사랑해 너를 너를 사랑해
돌아보지 말아 후회하지 말아
아 바보같은 눈물 보이지 말아
사랑해 사랑해 너를 너를 사랑해
사랑해 사랑해 너를 너를 사랑해
석산(石蒜, 학명:Lycoris radiata)은
수선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꽃 무릇이라고도 부른다.
산기슭이나 습한 땅에서 무리지어 자라며,
절 근처에서 흔히 심는다.
꽃줄기의 높이는 약 30~50cm 이다.
잎은 길이 30~40cm, 너비 1.5cm 정도로 길쭉하며
10월에 돋았다가 한 다발씩 뭉쳐져 겨울을 지내고,
다음해 5월이 되면 차차 시들어 사라진다.
8월 초에 잎이 완전히 자취를 감춘 후
희읍스름한 꽃대가 쑥 솟아나서 길이 1m 가량 자란다.
9월에 꽃대머리에 산형꽃차례로
4~5개의 붉은 꽃이 커다랗게 핀다.
여섯 개의 화피는 거꾸로 된 얇은 바소꼴이고 뒤로 말린다.
길이 7~8 센티미터의 수술이 여섯이고 암술이 하나인데
길게 꽃밖으로 나오며, 꽃과 같은 색으로 또한 아름답다.
원산지인 중국의 양쯔강 유역에서 자라는 것은
이배체로 결실이 잘 되나,
대한민국이나 일본의 것은 삼배체로 열매를 맺지 못한다.
꽃이 쓰러진 뒤에 잎이 나온다.
비늘줄기(인경)로 번식한다.
비늘줄기의 한약명이 석산(石蒜)이다.
해독 작용이 있다고 한다.
둥근뿌리에는 유독한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으며,
그 때문에 지방에 따라서는 사인화(死人花), 장례화(葬禮花)
또는 유령화(幽靈花)라고도 한다.
많은 분들이 상사화와 꽃무릇(석산이라불림)과
구분을 잘못하시는데요.
상사화나 꽃무릇은 구근으로 있다가
지역에따라 차이가 조금씩 있겠지만
상사화가 7~8월경에 꽃무릇보다 조금 일찍피구요,
꽃무릇은 조금뒤에
8~9월경에 핍니다~!,
두꽃모두 잎이나 꽃받침 같은것이 없이 신기하게도
군더더기 없이 땅에서 불쑥 꽃대만 쭉 올라와서 꽃을 피웁니다~!
꽃무릇’은 ‘꽃+무릇’으로 된 말인데,
‘무릇’의 뜻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어떤 이는 무리지어 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도 합니다.
‘ 무릇하다: 좀 무른 듯하다’는 뜻과 관련지을 수 있을 듯한데,
‘밥을 무릇하게 짓는다’고도 한다.
무릇을 ‘물고리/ 물구’라고 일컫기도 한다.
그런데 무릇은 무르지 않아 꽃대로 조리를 만들기도 했던 것을 보면,
반그늘 습지서 자라는 점을 반영한 이름이 아닐까요!
이 처럼 생명력이 강해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랍니다.
이렇듯
꽃 무릇과 나와의 첫만남은
사전에 예견되지 않았기에
더욱 놀라웠으며,
내가 살고있는 인근 동네에 그동안
사진으로만 봐 오던 신기한 꽃(?)
꽃 무릇이 피어 있다는 그 사실 자체만으로도
가슴 두근거림이었습니다.
실제 꽃을 한번도 못 보다가
가을비 내리는 산사의 계곡에서
꽃 무릇 과의 첫만남...
비내리지 않는 빛고운 가을날 다시금 찾았을땐
더 우아한 모습으로 다시 만날 수 있길
가만히 고대해 본다.
'문화유산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희장군 이야기... (0) | 2011.09.23 |
---|---|
영원사의 가을... (0) | 2011.09.21 |
다산 정약용... (0) | 2011.09.18 |
단양 신라 적성비 답사... (0) | 2011.09.09 |
한국민속촌... (0) | 2011.08.30 |